전체 글 249

JSP - scope과 attribute

영역(scope) : 속성을 공유할 수 있는 유효범위 속성(attribute): 공유되는 데이터 객체 범위 종류 1. application 영역 서버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태 유지 (ex.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공유할 자원). 같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요청되는 페이지들은 애플리케이션 영역을 공유 - JSP : Context클래스 - Servlet : ServletContext클래스 2. session 영역 세션이 설정되서 세션이 종료할 때까지 상태 유지(ex. 로그인정보, 장바구니). 같은 브라우저 내에서 요청되는 페이지들은 세션 영역을 공유 - JSP : session 내장객체 사용 - Servlet : HttpSession 클래스를 이용 세션 객체 얻기 HttpSession session=reques..

Dev/JSP & Servlet 2019.02.18

기본적인 R의 지식과 문법

R 설치 : https://cran.r-project.org/bin/windows/base/ R studio 설치 : https://www.rstudio.com/products/rstudio/download/#download Rstudio Files 경로 세팅 후 Set as Working Directory 기본적인 R의 지식과 문법 # 콘솔창에 작성한 코드를 실행시 ctrl + enter 1)객체할당과 제거 숫자 , 스트링, boolean, factor 자료 유형 존재 x= 5, x 5 y= ‘str’ z = false factor 2) 객체 조회 : ls() 객체의 자료구조와 자료 (객체에는 7가지의 자료구조 존재) 자료구조의 구분 기준 = 차원의 수 (점, 선, 면, 정육면체 등) 1.스칼라 (상수..

Big Data/R 2019.02.16

[Git] command line 버전관리

명령어로 git을 사용하는 것은 복잡하지만, gui를 사용하지 않고 진행 가능하다. 또한 더욱 다양한 기능이 존재한다.gitbash : 명령어를 통해 깃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실행하면 콘솔창이 뜸). 설치 후 'git' 을 치면 성공적으로 설치가 됐을 경우 깃 관련 정보가 조회된다.ls -algit init : 저장소 초기화 git : git repositorycd .. 부모디렉토리 조회.git 이라는 디렉토리를 지우면 버전정보가 기록된 것이 모두 사라진다. (삭제하지 않도록 유의) Working tree : 수정한 전체 파일들.Staging Area : 버전이 만들어져야 할때 변경된 파일 10개중 2개만 저장하고 싶을 때 이 곳에 올려둔다.Repository(저장소) : 버전이 저장 되어지는 곳. ca..

Dev/Git 2019.02.16

JSP - Redirect, Forward, Session

GET / POST 방식 리뷰 프로그래머들이 원하는 변수를 지정해서 전송할 때 주소를 통해 변수값이 보이는 get방식 사용. 사용자에게 입력값을 받는데 보여주면 안되는 데이터면 post방식을 사용. 대부분의 검색엔진, 신문사를 조회하면 post 방식임을 볼 수 있다. 게시글을 조회할 땐 get방식, DB의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는 post 방식을 사용한다. 1. JSP 활용한 달력 만들기 (get방식) JSP를 활용하여 현재 페이지에 연도, 월 변경 가능하게 구현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에 의해 넘어온 데이터는 처음 시작시 입력값이 없으므로 null이다. 버튼 '' +1 누르면 다른 페이지를 호출하는 게 아니라 자기자신의 페이지에서 보여줘야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구현해보자. get방식 사용 ‘▶’ : cal..

Dev/JSP & Servlet 2019.02.15

[Git] cherry-pick, Interactive Rebase

[작업을 여기저기로 옮기기] 작업을 여기저로 옮기는 개념은 '이 일은 여기에 저 일은 저기에 두는 등 정확하고 유연하게 브랜치 설정을 하는 것'. git cherry-pick git cherry-pick 현재 위치(HEAD) 아래에 있는 일련의 커밋들에 대한 복사본을 만들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rebase를 통해 브랜치를 복사할 수 있지만 cherry-pick 명령어를 통해 일련의 커밋들에 대한 일괄적인 복사본을 생성할 수 있다. git cherry-pick C2 C4 # C2와 C4를 커밋하면서 사본을 만들겠다는 명령어 git Interactive Rebase Git cherry-pick은 원하는 커밋이 무엇인지 알 때(커밋 해시값) 아주 유용하다. > cherry-pick은 간단함은 큰 장점. 원하는..

Dev/Git 2019.02.14

JSP 예제, get/post방식

1. JSP를 활용한 회원가입 페이지 만들기 test2.jsp 회원 가입 페이지 function sendIt(){ var f = document.myForm; //window. 맨앞에 생략 if(!f.userId.value){ alert("아이디를 입력!!"); f.userId.focus(); return; } if(!f.userPwd.value){ alert("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 f.userPwd.focus(); return; } alert("회원가입 성공!!"); } function onlyNum(){ if(event.keyCode57){//숫자 아스키코드 event.returnValue=false; } } function hangul(){ if(event.keyCode12687){//한글 유..

Dev/JSP & Servlet 2019.02.14

JSP 실행구조, 페이지 요청 라이프 사이클

Servlet (서블릿) 웹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 htt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며,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높이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CGI에 적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서블릿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빠른 속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개발되었다. JSP 실행구조 Servlet을 이용한 HTML 응답처리는 코드로 HTML을 제어하는 구조로 코드와 디자인의 효율적인 협업이 어렵다. JSP는 HTML과 코드를 분리하고 HTML을 중심으로 코드를 구성해서 특히 HTML을 응답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별도의 컴파일 과정을 직접 처리하지않고 요청시에 Servlet 클래스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컴파일한후 실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JSP 페이지 요청 ..

Dev/JSP & Servlet 2019.02.14

HTML 기초

1.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의 기본구조 웹문서의내용 HTML : 웹 상의 문서를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다루는 Markup 언어.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웹 브라우저와 웹서버간에 텍스트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응용 프로토콜 태그의 종류 문서의 시작과 끝 문서 전체의 정보를 제공 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에 나타날 문서 제목 웹 페이지의 몸체부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문서 문서 정보 및 사이트의 이동, 화면 전환 효과, 웹페이지 검색 기능.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태그의 속성 글자 크기 비교 쌍태그 : 열면 닫아줘야 한다 외태그 : 닫을 필요가 없는 태그가 몇몇 존재. , 속성 : size ="1" 실제로 사용하는 객체는 ..

Dev/Web 2019.02.13

[Git] Head, Relative Ref, reset, revert

1. HEAD HEAD는 현재 checkout된 커밋(현재 작업중인 커밋) 을 가리킨다.고로 HEAD는 항상 작업트리의 가장 최근 커밋을 가리킨다. 작업트리에 변화를 주는 git 명령어들은 대부분 HEAD를 변경하는것으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HEAD는 브랜치의 이름을 가리키고 있다. 커밋을 하게 되면, bugFix의 상태가 바뀌고 이 변경은 HEAD를 통해서 확인 가능함. HEAD 분리하기 HEAD를 분리한다는 것 = HEAD를 브랜치 대신 커밋에 붙이는 것을 의미 커밋에 붙은 라벨(C1, C2 등..)을 이용해서 head 분리 가능 git checkout master^ git checkout 브랜치명^ git checkout HEAD^ 2. 상대 참조(Relative Ref.) Git에서 여기저기 이..

Dev/Git 2019.02.12

[자료구조] Heap

Heap 힙은 자료구조의 일종으로 트리 형식을 하고 있다(Complete Binary Tree). 트리에서 가장 작은 원소를 최상위 루트에 두게 한다. 순서를 가진 큐나 리스트의 가장 작은 원소에 빠르게 접근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우선 순위 큐(Priority Queue)를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다. 각 노드는 자신의 자식보다 작으므로 원소들을 순서대로 위치시키고 싶을 때 가장 유용한 방법은 아니다. 힙 트리에서는 중복값을 허용한다. 배열에 트리의 값들을 넣어줄 때, 0 번째는 건너뛰고 1 번 index 부터 루트노드가 시작된다. (= 노드의 고유번호 값과 배열의 index 를 일치시켜 혼동을 줄인다.) 부모노드와 자식노드를 찾기 쉽다. 왼쪽 자식 노드의 인덱스 = (부모 인덱스) * 2 오른쪽 자..

CS/Data Structure 2019.02.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