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hat Package Manager : RPM]
- 레드햇 회사가 만든 리눅스에서만 쓸 수 있는 패키지 인스톨
- 형식 : 패키지명-버전-릴리즈번호.페도라버전.아키텍처.rpm
- 버전 : 숫자가 높아질수록 최신 버전. (주버전.부버전.패치버전)
- 릴리즈 번호 : 문제점을 개선해서 배포할 때마다 붙여지는 번호.
- 페도라버전 : 페토라에서 배포할 경우 붙여지는 페도라의 버전.
- 아키텍처 : 설치 가능한 CPU.
- 명령어 사용법 : rpm [옵션] [패키지 파일]
- 옵션
- -U : 기존에 패키지 미설치 시 설치 진행, 설치완료시 업그레이드 진행
- -v : 설치 과정 출력
- -h : 설치 진행 과정을 특수문자 #으로 출력
- -e : 설치된 rpm 삭제
- -qa : 시스템에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 -qf : 이미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된 것인지 확인
- -ql : 특정 패키지에 어떤 파일들이 포함되었는지 확인
- -qi : 패키지의 상세정보 출력
[Yellodog Updater Modified : YUM]
- Rpm 명령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여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파일을 저장소에서 자동으로 모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방식이다.
- 의존성을 지니는 rpm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후에 자동으로 설치까지 해주므로, 외부 레퍼지토리 서버와 통신이 가능해야한다.
- 명령어 사용법
- yum install [패키지 파일] : 패키지 파일을 설치.
- yum -y install [패키지 파일] : 사용자 확인을 모두 yes로 처리해서 관련된 패키지를 무조건 설치할 때 붙이는 옵션.
- yum check-update :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 목록 조회
- yum update [패키지 파일] : 업데이트
- yum remove [패키지 파일] : 삭제
- yum info [패키지 파일] : 정보확인
- yum list [패키지 파일] : 패키지 리스트 확인
- yum grouplist (hidden) : 설치가능한 그룹 리스트 확인.
- yum provides [파일명] : 파일이 속한 패키지명 확인
- yum clean all : 기존 저장소 목록 제거
참조 : https://wlstnans.tistory.com/3
https://jerrystyle.tistory.com/9
'CS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정리2 (0) | 2019.10.05 |
---|---|
[Linux]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정리1 (0) | 2019.09.28 |
[Linux] 리눅스 커맨드라인 툴 기초 (0) | 2019.09.24 |
[Linux]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3) (0) | 2019.09.23 |
[Linux] 생활코딩 리눅스 강좌 (2) (0) | 201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