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시 유의사항
1.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구성 -DB형식 디폴트값으로 포함해서설치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만 설치- DB형식 일일히 전부다 직접 만들어줘야함
2. 서버클래스 - 디비서버를 만드는거니까
3. 데이터베이스 설치유형 ( 우리가 설치하는게 아니라 DBA가 지정함)
단일 인스턴스 데이터베이스 설치 ->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디비가 1개
Real Application cluster DB설치 -> 디비유형마다 클러스터로 묶어서 존재
4. 소프트웨어 위치 C:\app\product\11.2.0\dbhome_1
언더바(_) 뒤의 숫자가 2,3,4 이런식이면 전의 오라클이 삭제가 제대로 안된 것
5. 데이터베이스유형
일반용/트랜잭션처리 - 범용, 데이터웨어하우징 - 유투브같이 데이터만 저장될때 사용
6. 오라클의 전역 데이터베이스 이름 = 네트웍에서의 이름
** 오라클이 탑재가 되면 사용하는 메모리를 기본 값으로 3기가 사용해서 엄청 느려지는 것.
7. 샘플스키마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꼭체크!
8. 둘다 OS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토콜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메일 전송시 사용하는 프로토콜
pop3 (Post office protocol ) 메일 수신시 사용하는 프로토콜
9. 데이터베이스는 원통형 1개. 그 안에 여러개의 파일들이 저장되는 것
데이터베이스 파일 위치 지정 C:\app\oradata
DB 각각의 파일들을 저장하는 폴더를 지정해주는 것. oradata안에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됨
10. 스키마비밀번호설정 - 어드민계정 비밀번호 관리를 하는 게 중요.
- SYS : 100%권한. 디비를 Shut down 할 수있음. 다시 살리는 거도 가능
- SYSTEM : 99%권한. 얘는 셧다운하거나 회복하는거 빼고 다 가능
- 비밀번호 설정한 후 반드시 기억
- 설치 완료 후 저장경로로 잘 저장됐는지 확인
설치 후 생성파일
C:\app\flash_recovery_area - 자동백업경로
C:\app\oradata\TestDB - 데이터베이스 저장경로
- 멀티플렉싱 :주기억 장치에서 보내온 자료를 분해해서 각각의 입출력 장치를 보내거나 한 회선에 배당된 시간을 저속의 각 입출력 장치에 재할당해서 각각 전송되는 바이트들을 조합하여 한 회선으로 주기억 장치로 보내는 프로세스.
- CTL파일 : DBF파일과 LOG파일이 제대로 저장되었는지 체크하는 정보
- LOG파일 : 각 SQL Server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트랜잭션에 의해 적용된 모든 트랜잭션 및 데이터베이스 수정 내용을 기록하는 트랜잭션 로그 존재
- DBF파일 : 데이터파일의 확장자 입니다. 데이터파일이란 말 그대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 이 파일들은 OS에서는 지워지지 않음. (11g서부터 삭제안되게 함). 여기있는 파일중에 하나라도 빠지면 오류남
cmd에 sqlplus 입력시 실행됨. 사용자명 system & 비밀번호 설치시 설정했던 비밀번호 입력하면 디비에 접속됨
반드시 디비 접속 후 종료시 exit 선언해줘야함
한 번에 진행할 땐 'sqlplus system/password' 커맨드창에 입력하여 로그인 가능. 이 때 비밀번호 노출되니 조심.
- sqlplus sys/password as sysdba : 관리자 권한으로 들어가는 거라고 선언해줘야함 (as sysdba) . 디비가 노출되면 큰일남. 보안 중요.
- show user : 로그인 후 사용자명 조회 명령어
- conn(connect의 약자) : 지금 사용자의 연결을 끊고 해당 사용자로 로그인하라는 명령어
- conn system/password : sys의 연결을 끊고 system으로 들어간 것
- conn soctt : 비밀번호 아무거나 입력하면 계정이 잠겨있다고 조회. 모든 계정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
-사용자 scott의 비밀번호를 pw로 변경. 문장 종료시 세미콜론 해줘야 함
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pw
account unlock;
-스캇 계정 로그인
conn scott/pw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행 - 열, 레코드 - 필드, row - column
- select * from tab; : tab 테이블의 컬럼 전부 가져와라.system으로 로그인해서 해당 명령어 하면 테이블의 정보 엄청 많이 뜸
- describe : decs로 사용 가능
- NUMBER<6,2> : 6자리 숫자중 2개는 소수점 최대값 9999.99까지 가능
- VARCHAR2<10> : 영문자는 10자 한글은 5자(한글은 한글자에 2바이트)
- 사실상 *(컬럼전체) 은 잘 안씀. 무슨 컬럼 가져온지 나중에 알아보기 어려울 수있음. 컬럼명을 다 콤마로 구분하여 작성함
- 일반적으로 평균 컬럼명을 30~40개 이상 넘어가지 않음
- sqlplus로 사용하면 좀 불편함. 오타나면 수정 불가 등등.. 그래서 사용하는 다양한 툴 존재 (ex: toad , sqlgate, sqldeveloper )
- localhost 네트워크에서 자기자신에 해당
- SID : xe << express의 약자.
'RDB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예제풀이 3 (0) | 2019.01.16 |
---|---|
[오라클] 숫자함수, 날짜함수, 문서함수, 그룹함수, 분석함수 (0) | 2019.01.16 |
[오라클] 예제풀이 2 (0) | 2019.01.16 |
[오라클] 정렬, 연결연산자, NVL함수, 행제한 등 기초 SQL문 (0) | 2019.01.16 |
[오라클] 기초 (0) | 2019.01.16 |